가장 생산적인 일을 하는 사람은 농부, 그 다음이 제조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며 가장 비생산적인 일을 하는 사람이 상인이라고 하는 주장이었다. 20세기 이전까지 대부분의 경제학자들 역시 그렇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 주장의 허구성을 쉽게 증명할 수 있다. 산업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은 효용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농부는 수확한 옥수수를 모두 소비하지 않고 미래에 더 많은 옥수수를 생산하기 위해 남겨 놓는다. 옥수수 씨를 심고 잡초를 뽑고 물을 뿌리고 거름을 주는 등 농부의 값진 노동의 결과로 많은 옥수수를 수확함으로써 효용을 창출한다. 마찬가지로 제조업자는 자재, 노동 등 요소를 투입하여 소비자들의 욕구에 더욱 부합되는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추가효용을 창출한다. 반면 상인은 제품을 덜 쓸모 있는 곳에서 더 유용한 시장으로 이전함으로써 공간적 효용을 창출한다. 때때로 상인은 소비자가 더욱 필요로 할 때까지 제품을 보관함으로써 시간적 효용을 창출하기도 한다. 즉 사회에 추가 효용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보면 상인은 농부나 제조업자와 다를 바가 없다.
위의 주장은 1893 년 출간된 리처드 엘리(Richard Ely)의 경제학 서설(Outlines of Economics) 에서 발췌/ 요약한 내용이다. 엘리(1854-1943)는 20 세기 초 미국 경제학계를 대표하는 경제학자로 미국경제학회(American Economic Association)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모든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이를 시장에 판매하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삼성전자와 같은 글로벌 회사와 지방의 어떤 자영업자는 생산과 마케팅이라는 두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 있어선 차이가 없다. 공기업도 생산과 마케팅이라는 두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 있어선 일반 기업과 다를 바가 없다.
기업은 제품/서비스의 생산과 마케팅을 통해 사회에 기여한다. 즉 성공적인 기업은 가치(value) 또는 효용(utility)을 창조하는 기업이다. 효용에는 형태, 시간, 장소/공간, 소유의 네 종류가 있다.
기업은 원자재와 부품을 투입, 완제품 및 서비스로 바꾸는 과정에서 형태(form) 효용을 창출한다. 예를 들어 유리, 철, 고무, 플라스틱 등을 투입해 자동차를 생산하는 경우다. 영화배우, 음악, 감독, 카메라 등을 투입해 영화를 제작하는 경우도 형태효용을 창출한 예다. 형태효용 창출은 기업의 생산부서 몫이다.
반면 시간(time), 장소(place) 및 소유(ownership) 효용은 마케팅이 창출하는 효용이다. 기업은 소비자가 구매하려 할 때까지 제품을 보관함으로써 시간효용을 창출하고, 소비자가 구매하려는 장소까지 제품/서비스를 운반함으로써 공간효용을 창출한다. 또한 기업은 소비자가 제품/서비스를 구매할 때 제품/서비스의 소유권을 양도함으로써 소유효용을 창출한다.
마케팅의 정의에 대해서 학계와 실무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두 개의 마케팅 정의를 소개한다. 하나는 마케팅 교과서 중 최대 판매부수를 자랑하는 필립 코틀러의 정의이고 다른 하나는 마케팅 관련 단체 중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가 있는 미국마케팅협회의 정의다.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의 정의4: 마케팅은 개인이나 집단이 제품과 가치를 창조하고 다른 사람과 이를 교환함으로써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을 획득하는 사회적/관리적 프로세스다.
미국마케팅협회(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or AMA)의 정의5: 마케팅이란 개인이나 조직의 목표를 충족시키는 (상호 유익한) 교환을 창출하기 위해 아이디어, 제품 및 서비스의 고안(conception), 가격책정, 판매촉진, 유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이다.
고객 지향적인 기업 경영활동이다
2023년 광고 대행사 순위 (0) | 2023.09.19 |
---|